MADNESS 광기
1-Channel video / 10'10 / variable-size
Where does madness come from, and who sets the standards? We use the expression 'crazy about something' when we see a person who is completely immersed in something. In that case, the expression "crazy" even sounds beautiful. Although there may be a pitiful minority,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crazy" have changed society and created something new. Henri Bergson said that life evolves from a simple system to a complex system by an anomalous choice by intuition. Madness is the visualized or conceptualized appearance of this expansion of amorphousness, and thus the embodiment of a non-mechanical and incomprehensible appearance. In other words, madness is the process of creative choice that is not understood. Creativity is led by crazy people. Not all madness leads to creativity, but the birth of the most creative thing requires madness to bloom. So madness is like an artist's virtue
On the other hand, sometimes crazy people are classified as psychotic. Mentally ill people with provocative words are treated as subjects of avoidance and are treated as subjects of treatment in isolation from society. What does mental illness mean? Through Freud and Jung, mental science as of the 21st century refers to mental problems such as confusion and panic due to brain problems, and modern psychiatrists have created effective treatments by interpreting the patient's brain and environment under relatively clear standards. Howev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imaging, mankind still has a long way to go for a complete understanding of mental science. Until just the 18th century, there was no recognition that mental illness was caused by problems in the brain, and it was thought that it was just Satan and evil. A representative anti-human sacrifice made in connection with this is the Witch Purge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 Europe. Therefore, psychiatrists at that time only played a role in isolating mentally ill patients from society and "treating" them through acts similar to torture.
Was everyone who was considered mentally ill really brain sick at that time? With the exception of those who were politically used, crazy people would have treated them like that because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m, classifying themas crazy people was easy to distinguish. We are afraid of not understanding and think we are crazy. People, of course, like to be easy to understand. Easy to understand is traditional, regular, or contrived. On the contrary, madness is expressed by things that have never been seen before, irregular, or random.Even in modern mental science, it is still interpreted as a madman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re have been numerous great studies to understand this in the end, but a complete analysis of the brain and mind is a task that mankind has not solved until modern times.
The inspiration for this work begins with the life of the 19th century great violinist Virtuoso, Piccolo Paganini. Paganini, who giftedly introduced numerous techniques of violin performance to the world, was considered a madman by people at the time. His fantastic performance caused the audience to panic, and in fact, people at the time called him Satan's son, or Satan. Because I couldn't understand Paganini. Even his instruments were called demons. An enemy of all men and an ideal type of all women, he lived a dissipated life indulging in women and alcohol, but his natural talent still has a profound impact on the21st century and is a model for many. Paganini is naturally far from a mentally ill person who should be imprisoned in a psychiatric ward. He was obviously a piano nut, a real artist, a strange man who never existed in the world.Paganini's madness was art, his art was madness.
So how do you view madness. I think madness is what artists and doctors call a tightrope walk in what they call the vague line of the mentally ill. Who sets the standard for insanity? Madness is irregular and anomalous. In addition, art is a product of madness. An artist is a person who distorts distorted reality.Artists who interpret and express the chaotic world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world are children of madness. In the postmodern era, with a population of 7 billion, art became an incomprehensible personal and private domain. In my own private artistic garden, an artist is a young child who dances with madness on his back. (Actually, I'm not even sure it makes sense to divide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anymore.) The artist is the artist who is crazy about art, and the artist is the crazy one at the same time. So all my expressions are based on madness. Madness is evolution, and my way of approaching video art. Madness is the starting point and process of my art.Madness is art itself, but it is the driving force of art, and this cycle is irregularly repeated indefinitely. Therefore, the embodiment of madness becomes a very meaningful work for the artist.
(KOR)
광기(狂氣)란 어디에서 오며, 그 기준은 누가 세우는가? 우리는 어떤 한 일에 완전히 몰두하고 있는 사람을 보고 ‘무엇에 미쳤다’라는 식의 표현을 사용한다. 해당 경우 미치다는 표현은 아름답게 들리기까지 하다.비록 안쓰럽게 보는 소수가 있을 지언정, 그 ‘미친 사람’들이 사회를 바꾸고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앙리 베르그송은 직관에 의한 변칙적인 선택에 의하여 생명은 단순계에서 복잡계로 진화한다고 하였다. 광기는 이 비결정성의 확장의 가시화된 혹은 개념화된 모습이고, 따라서 비기계적이고 이해되지 않는 모습의 형상화라고 할 수 있다. 즉, 이해되지 않는 창의적인 선택의 과정이 광기이다. 창의성은 미친 사람들이 이끌어낸다. 모든 광기가 창의성을 이끌어낸다고 할 수는 없으나, 가장 창의적인 것의 탄생은 광기가 있어야 꽃을 핀다. 따라서 광기는 예술가의 미덕과도 같다.
한편, 때때로 광인은 정신병자로 분류된다. 단어도 자극적인 ‘정신질환자’는 기피대상자로 취급되고, 사회와 격리되어 치료 대상으로 여겨진다. 정신질환은 무엇을 말하는가? 프로이트와 융을거쳐, 21 세기 현재 정신과학에서는 뇌에 문제가 생겨 착란, 공황등의 정신적 문제가 생기는 것을 일컫는 말이며, 현대 정신과 의사들은 비교적 명확한 기준 하에 환자의 뇌와 환경 등을 해석하며 효과적인 치료들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영상학 등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아직 정신과학의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갈 길이 멀다. 불과 18 세기까지는 정신질환이 뇌에 생긴 문제에 인한 것이라는 인식 조차 없었으며, 그저 사탄과 악마에 씌인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관련하여 일어난 대표적인 반인륜적 희생으로는 유럽 중세 16~17 세기의 마녀사냥(WitchPurge)이 있다. 따라서 그 시절 정신과 의사는 정신질환자들을 사회로부터 격리시키고, 고문과 유사한 행위를 통해 ‘치료’하는 역할에 그쳤다.
과연 그 시절, 정신질환자로 여겨졌던 모두가 정말 뇌질환자 였을까? 정치적으로 이용당한 사람들을 배제하고 봤을때, 광인이란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므로 미친 사람으로 분류하면 구분이 쉬웠기 때문에 그렇게 취급 했으리라.우리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미쳤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당연하게도 이해하기 쉬운 것을 좋아한다. 이해하기 쉬운 것이란 전통적이거나, 규칙적이거나, 작위적인 것이다. 거꾸로 보면, 광기란 이전에본 적 없는 것들이나, 불규칙적이거나, 무작위적인 것들에 의해 표현된다.현대 정신과학에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인간을 광인으로 해석하는 것은 여전하다. 이를 끝내 이해하기 위하여 수 많은 위대한 연구가 있어왔으나, 뇌와 정신에 대한 완전한 분석은 인류가 현대까지도 백퍼센트까지 풀지 못한 숙제이다.
이 작업의 영감은 19 세기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 비르투오소, 피콜로 파가니니의 삶으로 부터 시작된다. 바이올린 연주의 수많은 기법들을 천재적으로 세상에 처음 선보인 파가니니는 당시 사람들에게 미친 인간으로 여겨졌다.그의 환상적인 연주를 보고 관중들은 집단 패닉에 걸리기도 하였으며, 실제로 당시 사람들은 그를 사탄의 자식, 혹은 사탄 이라고 불렀다. 파가니니를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의 악기마저도 악마라고 불렸다. 모든남자의 적이면서 모든 여자의 이상형인 그는 여자와 술을 탐닉하여 방탕한 삶을 살았지만, 그의 천부적인 재능은 21 세기 현재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많은 귀감이 되고 있다. 파가니니는 당연히 정신병동에 수감시켜야 할 정신질환자와는 거리가 있다.그는 분명 피아노에 미친 사람이였고, 진정한 예술가였으며 세상에 없던 이상한 사람이였다. 파가니니의 광기는 예술이였고, 그의 예술은 광기였다.
그렇다면 광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나는 광기란, 예술가와 의사들이 말하는 정신 질환자의 모호한 선에서 줄타기를 하게하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광기의 기준은 누가 정한다는 말인가? 광기는 불규칙하고 변칙적인 것이다. 더불어, 예술은 광기의 산물이다.예술가란 왜곡된 현실을 왜곡하는 사람이다. 세상과 다른 시선으로 어지러운 세상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예술가는 광기의 아이들이다. 70 억 인구와 더불어 포스트 모더니티 시대에 이르러 예술은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개인적이고 사적 영역의 것이 되었다. 나만의 사적인 예술적 동산에서 예술가는 광기를 등에 엎고 춤을 추는 어린 아이이다. (사실 더 이상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나누는 것이 의미가 있는 지도 잘 모르겠다.) 예술에 미친 사람이 아티스트이고, 아티스트는 동시에 미친 사람이다. 따라서 나의 모든 표현은 광기에 의거한다. 광기는 진화 과정의 모양이고, 비디오아트를 접근하는 나의 방식이다. 광기는 나의 예술의 출발점이자 과정이다. 광기는 예술 그 자체이기도 하지만, 예술의 원동력이고, 이 순환은 불규칙하게 무한히 반복된다. 따라서 광기의 형상화는 예술가에게 매우 의미가 큰 작업이된다.
HOW TO
"Madness" is a video art work in collaboration with four contemporary dancers (Lee Jin), violinist (Kim Hyo-jin), sound artist (Glam Gould, Kwon Kwon-gyeol), and vocalist (Shi-ne, Shin Jung-hye). Contemporary dancers, violinists, sound artists, and vocalists were judged to be complete artists to show the irregularities and anomalies that fit the madness, so I wanted to work with them.
I directed both the video and the music used in the 'Madness' work. First of all, I worked on music first. Paganini's Caprice Etudes' #11 and #16 were used as performances. Among the Caprice series, I thought the texture of the two numbers of music was the closest to the madness I wanted to express. This is because there are particularly many contrasting areas among other works in theCaprice series. Contrast is the dominant technique used in all musical and imaging elements to be described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the work. If the music and video suddenly change in contrast to the point where the heart sinks, the audience will effectively feel the madness in its irregularities and anomalies.The basic musical composition is "Caprice #11 – Sound Art 1 – Caprice #16– Sound Art 2 – Caprice #11 & #16's extreme distortion + vocals". (The"Sound Art" part consists of pure sound art, and Caprice #11 and #16are also mixed with sound art, respectively.)
I recorded the performance of the violinist and Caprice #11 and #16 and directed it by requesting that the contrast between the high pitch and the low pitch be played very emphasized so that even noise can be heard. In particular, the part of Presto (very quickly) of Caprice #11, in Kentaro Miura's cartoon"Berserk," made me think of the image of fake fairies in the fog valley (out of the 14-17 volumes, always smiling and looking happy, but small fairies who consider fellow killers a sport).
Based on the violinist's performance, he began working with sound artist and producer Glam Gould. We created sound art with about 30 soundtracks and about100 plug-ins. Efforts were made to give extreme contrast to the violinist's performance. In particular, in the extreme distortion of Caprice #11 & #16, the last part, he was made as a crazy person himself, but even each note was made under careful calculation. The final music is 11 minutes and 46 seconds long.
Based on the music produced in this way, I started making videos. Video shooting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t is a thermal camera shoot with a violinist, a Hongcheon location shoot with a modern dancer in Gangwon-do, and aChroma-key shoot with a violinist and a modern dancer.
The filming was carried out as follows: Apart from recording capris in the recording studio, a classical performance practice room was rented and the violinist's capris performance scene was played in the space with a thermal imaging camera to match the sink of the final performance. I thought thermal imaging cameras were the perfect means to visually represent madness. Because madness emits heat in itself. It was filmed in anticipation of heat generation in the forehead part and the string part of the violin playing the violin, and the temperature of the part was also measured. The camera used the FLIR ThermalHD Camera model.
In Hongcheon, Gangwon-do, only modern dancers were filmed. Hongcheon is a city where the parents of modern dancer Lee Jin currently live. Previously, it was intended to be filmed in the garden of Salzburg, but both modern dancers and I entered Korea due to COVID-19, and as a result of location hunting in Hongcheon, we decided that it was a place that matched the setting of the work.
I wanted a place where nature was in a peaceful state. It was expected that the dance of madness in a state of peace would create an overwhelming contrast.Therefore, I hoped that it was not a complete peace, but a nature with a slight inconvenience. The filming locations of Hongcheon exactly matched this.
In addition to the green screen shooting described below, all dances, including the green screen shooting, feel the music completely and are improvised without a choreographer made in advance. To bring out the most honest state of insanity based on mad music (so there are only six takes in total, one per three locus in Hongcheon, three green screens) The thermal imaging camera was also used in Hongcheon, the main Sony FS7 and FLIR Thermal HD Camera were used, and the lens was Samyang Xeen (Cine). The Hongcheon cinematography is most dominant in all video editing.
Next, the green screen filmed the violinist's performance and the modern dancer's performance and used it as a source. The dance part except for the filmed green screen cloth part is used dominantly as an element, especially in the extreme distortion + vocal part of Caprice #11 & #16. In front of the green screen, the modern dancer performs a total of two performances, and on the last time, he raises his madness without singing, making various movements and emotional expressions. The violinist performs two Caprice songs and various movements based on my directing. These include stirring the air with the strings of the violin, turning the other side of the violin into strings, and playing the violin fake like a guitar with hands.
Editing works with a complete immersion in dance and music while maintaining a mental state close to 'madness'. The editing composition of the final video is as follows: up to the second part of the sound art is a deliberate simple editing of the Hongcheon cinematography and the violinist's thermal imaging.It's just a simple arrangement. It seems to fit the sink at first, but it doesn't fit intentionally as time goes by. This is an expression for the gradual extremization of irregularities. Since then, in the extreme distortion+ vocal part of Caprice #11 & #16, all the videos filmed are arranged in an editorial way and out of sync, and graphic elements and visual effects are used very splendidly and inconveniently to reach the peak of irregularity and anomaly, that is, madness.
(KOR)
“Madness 광기” 는 현대무용수(이진), 바이올리니스트(김효진), 사운드 아티스트(글램 굴드 Glam Gould, 권한결), 보컬리스트(Shi-ne, 정신혜) 4 명과 협업한 비디오아트 작업이다. 현대 무용수,바이올리니스트, 사운드 아티스트, 그리고 보컬리스트는 광기에 맞는 불규칙성과 변칙성을 보여주기에 완전한 예술가라고 판단하여 반드시 함께 일하고 싶었다.
나는 ‘Madness’ 작업에서 쓰인 비디오와 음악 모두를 연출하였다. 우선, 음악을 먼저 작업하였다.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연작(Paganini’s Caprice Etudes)의 #11 과 #16 을 연주곡으로 사용하였다. 카프리스 연작 중에서도 두 번호의 음악의 결이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광기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했다. 카프리스 연작의 다른 작품중에서도대조적인 영역이 특히 많기 때문이다. 대조는 해당 작업과 관련하여 앞으로 설명할 모든 음악적 영상적인 요소들에쓰이는 지배적인 기법이다. 갑자기 가슴이 철렁할 정도로 음악,영상이 대조적으로 바뀌면 관객은 그 불규칙함과 변칙성에서 광기를 효과적으로 느낄 것이다. 기본적인 음악 구성은 “카프리스#11 – 사운드 아트 1 – 카프리스 #16 – 사운드아트 2 – 카프리스 #11 & #16 의 극단적 왜곡 + 보컬” 이다. (‘사운트 아트’ 부분은 순수 사운드 아트로 구성되며, 카프리스 #11 과#16 또한 각각 사운드 아트가 함께 섞여있는 형태이다.)
나는 바이올리니스트와 카프리스#11 과 #16 의 연주를 녹음하며 전반적인 연주시 하이 피치(highpitch)와 로우 피치(low pitch)의 대조점을 약간 노이즈까지도 들릴 정도로 매우 강조하여 연주해달라고 요청하여 감독하였다. 특히 카프리스 #11 의 프레스토(Presto = 매우 빠르게)의 부분은 미우라켄타로(Kentaro Miura みうら けんたろう)의 만화 ‘베르세르크(Berserk)’의 안개계곡의 가짜 요정들 (14 권~17 권 중, 항상 미소를 지으며 즐거워보이고 행복해보이나, 동료 살인을 스포츠로 여기는 작은요정들)의 이미지를 떠올리며 연주하도록 하였다.
바이올리니스트의 연주를 기본으로, 사운드 아티스트 겸 프로듀서인 글램 굴드와 작업을 시작했다. 우리는 약 30 개의 사운드 트랙과 약 100 개의 플러그인(plug-in)을 통하여 사운드 아트를 만들어냈다. 바이올리니스트의 연주에 대조성을 극단적으로 부여하려는 노력이 가미되었다. 특히 마지막 부분인 카프리스 #11 & #16 의 극단적 왜곡 부분에서는 미친 사람 그 자체가 되어 만들되, 음 하나하나까지 치밀한 계산하에 만들었다. 최종 음악의 길이는 11 분 46 초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음악을 기반으로 영상 제작에 들어갔다.영상 촬영은 총 3 개의 카테고리로 나뉜다. 바이올리니스트와의 열화상 카메라 촬영, ,현대무용수와의 강원도 홍천 로케이션 촬영,그리고 바이올리니스트와 현대무용수와의 그린스크린 (Chroma-key) 촬영이다.
이를 위한 촬영은 다음처럼 진행하였다:녹음실에서 카프리스를 녹음 한 것과 별개로, 클래식 연주 연습실을 따로 빌려 그 공간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바이올리니스트의 카프리스 연주 장면을 최종 연주본의 싱크에 맞게 연주하도록 하여 촬영하였다. 열화상 카메라는 광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에 완벽한 수단이라고 생각하였다. 광기는 그 자체로열을 내뿜기 때문이다. 이마 부분과 바이올린을 켜는 바이올린의 스트링 부분에서 열이 발생할 것을 기대하고 촬영하였으며, 해당 부분의 온도 또한 측정하였다. 카메라는FLIR Thermal HD Camera 기종을 사용하였다.
강원도 홍천에서는 현대무용수만 촬영하였다. 홍천은 현대무용수 이진의 부모님이 현재 살고 계시는 시 이다. 기존에는 짤즈부르크의 동산에서 촬영하고자 하였으나, 현대무용수도나도 코로나로 한국에 입국하게 된 상황에서 홍천에 로케이션 헌팅을 다녀온 결과 작품 설정과 부합하는 장소라고 판단하여 촬영하였다.
평화로운 상태의 자연이 있는 장소를 원했다. 평화의 상태에서 광기의 춤을 추는 것이 압도적인 대조점을 만들어낼 것을 예상하였다. 그래서 완전한 평화가 아니라 미세한 불편함이 있는 평화가 있는 자연이길 바라였다. 홍천의 촬영장소들은 이에 정확히 부합하였다.
현대무용수는 아래 설명되는 그린스크린 촬영과 더불어, 그린스크린 촬영까지 모든 춤들이 음악을 온전히 느끼며 사전에 만들어진 안무가 없이 즉흥적으로 만들어진다. 광기 음악에 의거한 가장 솔직한 광기의 상태를 이끌어내기 위함이다. (그래서 촬영본은 홍천 3개의 로케당 1개씩, 그린스크린 3개, 총 6개의 Take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홍천에서도 열화상 카메라 또한 사용하였으며, 카메라는 메인인 Sony FS7 과 FLIR Thermal HD Camera 를 사용,렌즈는 Samyang Xeen (Cine)를 사용하였다. 홍천 촬영본은 전 영상 편집에서 가장 지배적으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그린스크린은 바이올리니스트의 연주와 현대무용수의 퍼포먼스를 촬영하고 이를 소스로 활용하기 위하여 촬영했다. 촬영된 그린스크린 천 부분을 제외한 춤 부분은 요소로서 특히 카프리스 #11 & #16 의 극단적 왜곡 + 보컬 부분에서 지배적으로 사용된다. 그린스크린 앞에서 현대무용수는 총 두번의 퍼포먼스를 하고, 마지막 한번은 노래 없이 광기를 끌어올려 다양한 동작과 감정표현을 한다. 바이올리니스트는 카프리스 두 곡의 연주, 그리고 나의 연출에 의거한 다양한 동작들을 해낸다. 이는 예를 들어, 바이올린의 현으로 허공을 휘젓는 다던가, 바이올린의 반대편 등을 현으로 키는 것,손으로 바이올린을 기타처럼 가짜로 연주하는 것 등이다.
편집은 '광기'에 가까운 정신상태를 유지하면서,춤과 음악에 완전히 몰입된 상태로 작업한다. 최종 영상의 편집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사운드 아트 2 부분까지는 홍천 촬영본과 바이올리니스트의 열화상 촬영의 의도적인 단순 편집이다. 단순 배열만 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싱크에 맞는 듯하지만 점점 갈 수록 의도적으로 싱크는 맞지 않는다. 이는 불규칙성의 점차적인 극단화를 위한 표현이다. 이후 카프리스 #11 & #16 의 극단적 왜곡 + 보컬 부분에서는 촬영한 모든 영상들이 편집적으로 싱크를 맞기도 하고 안맞기도 하게 배치되고, 그래픽 요소들과 비주얼 효과등을 매우 화려하고 불편하게 사용하여 불규칙함과 변칙의 정점, 즉 광기의 정점을 맞이한다.
Official Selections:
* Premiered at 7th Festival ECRÃ, Rio de Janeiro, Brazil (2023)
https://www.festivalecra.com.br/7fecravideoartes/insania
* Centro Cultural San Martin (El Cultural San Martín) "VideoBardo International Videopoetry Festival", Buenos Aires, Argentina (2023)
* CICA Museum "Abstract Art 2024" Group Exhibition, Gimpo, Korea (2024)
Video Credits:
Director, Producer: Seyeong Yoon 윤세영
Director of Photography: Seyeong Yoon 윤세영
Assistant Director & Camera Operator 1st : Yuri Kim 김유리
Camera Operator 2nd : Sejun Park 박세준
Camera Operator 3rd : Sehee Park 박세희
Editor & VFX: Seyeong Yoon 윤세영
Field Assistant: Jonguk Sim 심종욱
Casts
Contemporary Dancer: Jin Lee 이진
Violinist: Hyo-Jin Kim 김효진
Performance Artist: Seyeong Yoon 윤세영
Music Credits:
Producer: Seyeong Yoon 윤세영
Composed by: Nicolo Paganini, Glam Gould 글램굴드
Arranged by: Glam Gould 글램굴드
Sound Effects: Glam Gould 글램굴드
Violinist: Hyo-Jin Kim 김효진
Additional Vocal by: Shi-ne 시네 (Shinhye Jung 정신혜)
*The music contains composition by Nicolo Paganini (Caprice Etude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