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된 비디오, 소리 / Prepared Video, Sound> (2024)
*The video above is a juxtaposition of video score and performance archive (Insadong KOTE, 1st & 2nd) footage.
*위 영상은 비디오 악보와 공연 아카이브 (인사동 KOTE, 1&2회차) 영상이 병치된 영상.
2024 / 17'18" / 3840*1080 (32:9)
*Warning: This film/video contains several sequences with imagery and sustained flashing lights that may affect those who are susceptible to photosensitive epilepsy or have other photosensitivities.
-
<Prepared Video, Sound> is a media performance (genre) in which musicians (in this case, sound artists, Korean traditional music artists, and percussionists) and media artist “perform” a “video score” through video and sound.
<계획된 비디오, 소리>란, ‘비디오 악보’를 뮤지션(이번 경우 사운드 아티스트, 국악 아티스트,퍼커션)과 미디어 작가가 비디오와 소리를 통해 ‘연주(합주)’하는 형태의 미디어 공연 (장르)이다.
<Prepared Video, Sound> is an experimental performance that seeks to apply the concept of the prepared piano, which has been popularized by contemporary musicians and artists such as John Cage and Fluxus, to the audiovisual media of video and sound (Klang). Prepared Piano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is transformed by placing various objects (clothespins, glass, soil, etc.) inside a traditional piano. Just as the sound result of playing the Prepared Piano is not semi-intentionally prepared, the work starts from the question of what is the 'unplanned/unprepared direction' of a video, which is considered to be born within an inherently planned structure, as a 'prepared video'. The work also contains an exploration of whether a video (precisely, a video that contains only visual information with auditory information removed)cannot be utilized as an auditory information or experience ('video sound')like sound.
Through the work, I invite the viewer to question the notion of 'preparation' and to rethink the concept of time, linguistic categories, and sensation. Inheriting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I provide the viewer with an experience that allows them to sensually experience the process as it is. It is a continuation of my research into 'sensualization of process and context', improvisation, and genre experimentation.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work is the 'video score'. The 'video score' is a linear, time-based score that provides abstract visual information for the performance by linking the live performance of the musicians with actual scores, texts, found footage, and graphic images. It is a video-evolutionary form of musical score utilized by Karlheinz Stockhausen, Stefan Prins, Nam June Paik, and others, which is closer to the language of the written word than the traditional pentatonic score or national musical notation.
There are genius pioneers who have created scores that are more advanced than those widely known to the public, or who have utilized scores in music. There were text and graphic scores by composers Henning Christiansen, Jorgen Lekfeldt, Henrik E Rasmussen, and Sejong Shin; mathematical score animations by motion designer Simon Russell; Alexander Schubert's use of the score (rules) itself as a synchronized audio-visual; scores composed of instructions written on paper, such as Nam June Paik's Fifth Symphony and Robot Opera; and visual listening scores by Rainer Wehinger. However, it has not been widely presented that the score is a video in digital form and the video acts as a component of the score. In this performance, I introduce a 'video score' that 'plays with time' and invites even the time being played to become a composition.
The 'video score' consists of a blue line, the Indicator, and a chronological sequence of images and videos. The Indicator calls for the musician to play, using it as the axis of the performance's rhythm (timing).
My 'video score' begins by distorting the score of Boulez's <Structure I> (1952) and utilizing asa source or 'note' the recordings Ligeti made when creating his work <Apparitions>(1959). This is not only an homage to Boulez and Ligeti's attempts to create scores and music in a gravity-free/weightless direction, but also an developmental/evolutionary alternative to Boulez's diagonal, mathematical musical form as a material, utilizing the time axis, which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video, to add a time axis to Boulez's musical axis. While the 'tape music' of contemporary music utilizes the concept of space to arrange the score in a linear fashion, the 'video score' goes beyond this and allows time itself to be played.
Since the output video is inherently chronological and linear in nature, if the output video acts as an element of the score - a note, if you will - then the musician cannot follow the indicator and play a first reading (looking at the score and playing it immediately) in the traditional sense. Notes have been consumed as 'set in stone', and when a musician reads a paper score, they naturally look and read from left to right. However, reading a video score requires (in a big way) Husserl's phenomenological exclusion. Simply put, it requires intuition, which is an attempt to break free from conservative dogmatism and improvise and intuitively embrace the notes and the score itself as a holistic experience. To observe is also to interpret. By taking the moving visual information for whatit is and 'interpreting' it, musicians can perform a video score that representsa performance of time.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destroy the tradition of the score, but rather to present it as an inherited and evolutionary alternative.
The visual results of my ongoing series <Video-Music Jamming> were actively utilized for <Prepared Video, Sound>, including the ‘video score’. Inspired by the practice of improvisation among musicians, <Video-Music Jamming> is an attempt to experiment with the possibilities of “improvisation” between video artists and musicians, to “play” music and video in an unplanned, mutually inspired way, and to study the aesthetics of the process. By utilizing <Video-Music Jamming>,not only can we find fun in the improvisation of improvised videos as musical notes, but it also becomes an element that can approach the basic question of questioning and exploring the concept of ‘preparation’, which is what we want to express through <Prepared Video, Sound>, i.e., the prepared, preparing, and prepared results. In addition, the video of <Video-Music Jamming> is responsible for the organization of the existence of 'video sound', another important component of <Prepared Video, Sound>.
In <Prepared Video, Sound>, a musician plays in time while reading a 'video score' usingthe video source created by ‘jamming’, and the frequency, key, etc. of the sound played by the musician are corresponded to by the functions (logic) of a computer program to express the video. Only the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is set up, but since the auditory information coming through the system is anomalous, the resulting visual information is also anomalous. In this case, the anomalous audiovisual video is defined as 'video sound'. A “video sound” is a single note played. Through this, the audience is accompanied by the experience of perceiving visual information in a similar form to auditory information through a synesthetic experience. In other words,'video sound' presents an ambiguous process experience that is closer to an auditory experience than a visual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 ambiguous concept is multiplied and expanded by the use of the resulting <Video-Music Jamming>.The time of the corresponding video ('video sound') is distorted or decontextualized, and the audience's sense of time and sense is tested through the final result, which reveals the rearranged context.
Each artist performs according to a strictly scored format, but if the score is abstract, the prepared abstract “video score” and the prepared performance by the prepared score invite the audience to explore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preparation andits ambiguity. If the same score is later “performed” by different artists, the results will be different, and in this case, the process precedes the result in meaning. Through <Prepared Video, Sound>, we hope to provide a creative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preparation and a sensory experience of the process as it is.
<계획된 비디오, 소리>는 John Cage와 플락서스로 대표되는 현대음악가 및 예술가들의 사랑을 받은 Prepared Piano (프리페어드 피아노)의 개념을 시청각 미디어인 비디오, 그리고 소리(음향, Klang)에 적용하고자 하는 실험적 작품이다. Prepared Piano란 전통적인 피아노의 내부에 다양한 물체 (빨래집게, 유리, 흙 등)을 장치하여 변화시킨 악기이다. Prepared Piano 를 연주한 사운드의 결과값이 반(半)의도적으로 Prepared(계획) 되어있지 않은 것처럼, 본디 계획적인 구조 속에서 탄생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비디오가 하나의 ‘계획된 비디오’로써 ‘계획되어 있지 않는 방향’은 무엇일까에서 출발한다. 또한, 해당 작업은 비디오(정확하게는 청각 정보를 삭제한 시각 정보만을 지니고 있는 비디오)가 소리처럼 하나의 청각적 정보 혹은 경험으로서 활용될 수는 없는 지(‘비디오 소리’)에 대한 탐구 과정을 담고있다.
작품을 통해 나는 관객으로 하여금 '계획' 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게 하여, 시간개념과 언어적 구획, 그리고 감각에 대하여 다시금 생각해보도록 제안한다.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계승하여, 과정을 있는 그대로 감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경험을 관객에게 제공한다. 이는 나의 ‘과정과 맥락의 감각화’와 즉흥성에 대한 연구, 그리고 장르적 실험의 지속의 일환이다.
작품의 구성요소 중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는 ‘비디오 악보’이다. ‘비디오 악보’란, 실제 오선지, 글, 파운드 푸티지, 그래픽 영상들과 음악가들의 라이브 퍼포먼스를 연계하여, 공연을 위한 추상적 시각 정보를 시간축에 따라 선형적으로 제공하는 악보이다. 전통적인 오선지 악보 혹은 국악의 악보라기보단, 글의 어법에 가까운 Karlheinz Stockhausen 혹은 Stefan Prins, 백남준 등이 활용한 악보의 영상 진화적인 형태이다.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악보에 비하여 진보한 악보를 창안해내거나, 악보를 음악에 활용한 천재적인 선구자들이 있다. Henning Christiansen, Jorgen Lekfeldt, Henrik E Rasmussen 등을 비롯해 한국계 음악가로는 신세종 작곡가의 의 Text and Graphix 악보, Simon Russell 모션디자이너의 수학적인 악보 애니메이션, Alexander Schubert의 악보(규칙) 자체를 하나의 싱크로나이즈 오디오 비주얼로서 활용한 사례, 백남준의 교향곡 5번과 로봇 오페라와 같은 종이에 쓰인 명령어로 구성된 악보, Rainer Wehinger의 visual listening score등이 존재했다. 그러나, 악보가 디지털 형태의 하나의 비디오이면서 비디오가 그 악보의 구성 요소로서 작용하는 경우는 널리 소개된 바 없다. 이번 공연을 통해 나는 ‘시간을 연주’하고 연주되는 시간조차 하나의 구성으로 자리하도록 유도하는 ‘비디오 악보’를 소개한다.
‘비디오 악보’는 파란색 선인 Indicator, 그리고 시간순으로 흐르는 이미지와 영상으로 구성된다. Indicator는 그를 연주 박자 (타이밍)의 축으로 삼아 뮤지션이 연주하도록 요구한다.
나의 ‘비디오 악보’는 불레즈의 <Structure I> 의 악보를 왜곡, 리게티가 그의 작품 <환영>을 만들 때 남긴 기록을 하나의 소스 혹은 ‘음표’로써 활용하며 시작된다. 이는 불레즈와 리게티가 무중력적인 방향의 악보와 음악을 만들어내려고 한 점에 대한 오마주일 뿐만 아니라, 불레즈의 대각선적, 수학적인 음악의 형식 자체를 재료(Material)로 삼아 비디오의 고유 특성인 시간축을 활용하여, 불레즈의 음악적 축(axis)에 시간축을 더함으로서 발전적 대안으로서 작용시키고자 함이다. 현대음악의 ‘테이프 음악’을 통해 악보를 공간적인 개념을 활용해 선형적으로 배치되었다면, ‘비디오 악보’는 이에서 나아가 시간 자체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
출력된 비디오는 본디 시간순으로 선형적으로 흐르고 있기 때문에, 출력된 비디오가 악보의 요소 – 음이라고 할 수 있다 – 로써 작용한다면, 뮤지션은 Indicator를 따라서 초견(악보를 보고 바로 연주하는 것)이 전통적인 의미로는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음표는 ‘정해져’ 있다고 소비되어 왔으며, 뮤지션이 종이 악보를 초견할때 자연스럽게 왼쪽에서 오른쪽을 보고 읽어내는 것에서 비롯되기도하다. 그러나, 비디오 악보를 읽기 위해서는 (거창하게는) 후설이 말한 현상학적 배제 작업이 요구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직관이 필요하다. 즉, 보수적 독단주의에서 벗어나 음표와 악보 자체를 하나의 총체적 경험으로서 즉흥적, 직관적으로 받아들이는 시도가 뒤따라와야 한다. 초견하는 일은 해석하는 일이기도 하다. 움직이는 시각 정보를 그 자체로서 받아들여 ‘해석’한다면 뮤지션은 시간의 연주로 대변되는 비디오 악보의 연주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악보의 전통성을 파괴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오히려 계승하면서 발전적 대안으로 제시하기 위함이다.
나의 연작 시리즈인 <비디오-음악 즉흥연주 / Video-Music Jamming>의 시각적 결과물은 비디오 악보를 비롯한 <계획된 비디오, 소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비디오-음악 즉흥연주>는 뮤지션들끼리 즉흥연주를 하는 모습에서 착안하여, 비디오 아티스트와 뮤지션 사이의 ‘즉흥연주’의 가능성에 대해서 실험하고, 무계획적으로 서로가 서로에게 영감을 받아 즉흥적으로 음악과 비디오를 ‘연주’하고, 과정의 미학을 연구하고자 한 작품이다. <비디오-음악 즉흥연주>를 활용함으로써,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영상이 음표로서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에서 재미를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는 <계획된 비디오, 소리>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계획된 것, 계획하는 것, 계획된 결과’, 즉 총체적으로 계획의 개념에 대한 의문과 탐구라는 기본적인 물음의 답변에 다가갈 수 있는 요소가 된다. 또한, <비디오-음악 즉흥연주>의 영상은 <계획된 비디오, 소리>의 또 하나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비디오 소리’의 존재의 구성을 담당한다.
<계획된 비디오, 소리>에서는 ‘즉흥연주’에 의해 탄생된 비디오 소스를 활용한 ‘비디오 악보’를 읽으며 시간에 따라 뮤지션이 연주하는데, 뮤지션에 의해 연주된 소리의 진동수, 키 등이 컴퓨터 프로그램의 함수(로직)에 의해 대응하여 비디오가 표현된다. 정보가 수신되고 송출되는 시스템만이 설정되있을 뿐, 시스템을 통해 들어오는 청각 정보가 변칙적이므로 시각 정보의 결과값 또한 변칙적이다. 이 때 그 변칙적인 오디오비주얼적인 비디오를 ‘비디오 소리’라고 정의한다. ‘비디오 소리’는 하나의 연주된 음이다. 이를 통해 관객은 공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시각정보를 청각정보와 유사한 형태로 인식하는 경험을 동반한다. 즉, ‘비디오 소리’는 시각적 경험이라기보단 청각적 경험에 더 가까운 모호한 과정 경험을 선사한다. <비디오-음악 즉흥연주>의 결과물이 사용됨으로써 모호한 개념의 의미는 배가 및 확장된다. 대응된 비디오(‘비디오 소리’)의 시간이 뒤틀리거나 맥락이 파괴되어 쓰임으로서, 재배열된 맥락이 드러나는 최종 결과물을 통해 관객은 시간성과 감각을 시험당한다.
철저히 악보에 의해 계획되어있는 형식에 따라서 각 아티스트들은 퍼포먼스를 펼치나, 그 악보가 추상적이라면, 계획된 추상적 ‘비디오 악보‘, 그리고 계획된 악보에 의한 계획된 공연은 계획의 개념의 확장성과 그 모호함에 대한 탐구로 관객을 초대한다. 같은 악보를 두고도 추후 다른 아티스트들이 소리와 비디오를 "연주"를 하게 된다면 결과는 다를 것이고, 이 경우에는 결과보다 과정이 의미에 있어서 앞선다. <계획된 비디오, 소리>를 통해 계획의 개념에 대한 창의적 고찰과, 과정을 있는 그대로 감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경험을 하길 기대한다.
Director: Seyeong Yoon 윤세영
Musician: HanKyul Kwon 권한결 @glamgould , Han Kim 김한 @kimhan95.1 , Shinhae Jung 정신혜 (Shi-ne) @8hi_ne
Interactive Visual System (TD): Jaeyoung Shin 신재영 (Gamsas) @jaeyoungsshin
DP: Seongseok Song 송승석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예술경영지원센터, 아트코리아랩
Hos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rganizsed by: Korean Arts Management Service, Arts Korea Lab